정식명칭: 明治安田生命Jリーグ 메이지 야스다 생명 J리그
영문명칭: J.League
창설년도: 1993년 (J1리그),1999년 (J2리그),2014년 (J3리그)
참가 축구팀 수: 18팀 (J1리그),22팀 (J2리그),15팀 (J3리그)
리그 구성: J1리그 (1부),J2리그 (2부),J3리그 (3부)
타이틀 스폰서: 메이지 야스다 생명
1993년에 출범한 일본의 프로 축구 리그로, 1965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최상위 리그이자 실업 리그인 일본 사커 리그(JSL)를 대체할 프로 리그로 창설됐다.
정식 명칭은 "일본 프로 축구 리그"이며 J리그는 약칭이다.
일본에서는 주로 J리그라 하면 1부 리그로 받아들이곤 하는데 정식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J리그는 프로 축구 리그 전체를 통칭하는 명칭이며 1부 리그는 J1리그, 2부 리그는 J2리그, 3부 리그는 J3 리그로 구분한다.
1993년 단일 리그로 출범하여 1999년 2부 리그인 J리그 디비전 2(현재의 J2리그)를 창설해 승강제를 도입했고, 2014년 J3리그 를 출범 시켜 3부리그 체제를 확립했다.
J리그와 J3 리그는 검은색, J1리그는 빨강색, J2리그는 녹색을 사용한다.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 설립된 배경은?
1964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 올림픽 축구 대표팀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코치로 영입된 데트마어 크라머가 올림픽 8강이라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두고서 독일로 귀국하며 '대표팀의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리그가 필요하다'라고 조언으로 1965년 일본 사커 리그(JSL)가 시작된다.
이후 올림픽인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일본 내에서 축구의 인기가 조금씩 싹트기 시작하지만, 1980년대에 들어서며 점차 열기가 식는다.
이에 리그 관계자들이 다시금 축구 열기에 불을 붙여줄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이 와중에 FIFA가 월드컵 최초의 아시아 개최지로 일본이 어떻겠냐는 의향을 일본 협회에 전하고, 일본이 이를 받아들여 2002년월드컵 유치에 뛰어듬과 동시에 대중의 관심을 모으기 위해 JSL을 프로 리그로 전환하는 계획을 세운다.
이렇게 해서 일본 사커 리그가 1992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것이 일본 프로 사커 리그. 리그의 약칭으로는 계획 설립 과정에서 프로젝트의 가칭으로 사용되던 'J리그'가 정식으로 채용된다.
브라질이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에 미치는 영향은?
일본 J리그는 브라질의 축구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초기에는 외국인 선수도 브라질 선수가 대부분이었고 감독도 브라질 출신이 많았다.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친 후 가시마 고문 및 총감독을 거쳐 후에 일본 대표팀 지휘봉까지 잡은 바 있는 하얀 펠레 지쿠가 이 계열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세계적인 명장인 아스널 FC 의 아르센 벵거도 J리그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의 감독을 지낸 바 있으며, 초창기에는 게리 리네커 같은 왕년의 스타를 영입하기도 하는 등 일본의 부유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해외의 유명 브라질 축구 선수들을 출범 초기부터 데려왔다.
2021시즌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 코로라 19로 인해 경기중단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는 2021시즌의 막을 올렸다.
그러나 시즌 개막 후 채 1주도 지나지 않아 코로나19 로 인해 축구 경기가 차질이 빚어졌다.
J리그 사무국은 대체 일정에 관해서는 결정되는 대로 다시 축구 토토경기 일정을 알리겠다고 했다.
하지만 이번 시즌은 지난 시즌 J2(2부)리그 강등이 없었기 때문에 팀 수가 18개에서 20개로 늘어나면서 더욱 과밀 일정을 소화해야 해 새로운 경기 날짜를 잡기도 만만찮은 처지다.
이번 나고야-감바 오사카전도 시즌 11라운드 경기이지만 두 팀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 리그 에 참가해야 해서 앞당겨 치르려 했던 터였다.
이번 시즌 J리그에서는 취소 경기의 대체 일을 잡을 수 없는 경우에는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된 책임이 있는 축구팀의 0-3 패배로 간주한다.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 최고령 출전기록 탄생
일본의 노장 미우라 가즈요시(53·요코하마 FC)가 J 리그1 최고령 출전기록을 세웠다.
미우라는 53살 6개월 28일의 나이에 그라운드를 밟아, 나카야마 마사시가 2012년 세웠던 J 리그1 최고령 기록(45살 2개월 1일)을 새로 썼다.
미우라는 2020년 들어 처음 출전하면서 대기록을 세웠다.
미우라는 공격 포인트를 올리지는 못했으나 17차례 공을 터치했고, 후반 11분 경기장을 찾은 4천700여 명의 팬의 박수를 받으며 교체됐다.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 우승 클럽
J1리그
우승클럽 : 1993, 우승 : 베르디 가와사키, 준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우승클럽 : 1994, 우승 : 베르디 가와사키, 준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우승클럽 : 1995, 우승 : 요코하마 마리노스, 준우승 : 베르디 가와사키
우승클럽 : 1996,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우승클럽 : 1997, 우승 : 주빌로 이와타, 준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우승클럽 : 1998,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주빌로 이와타
우승클럽 : 1999, 우승 : 주빌로 이와타, 준우승 : 시미즈 에스펄스
우승클럽 : 2000,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승클럽 : 2001,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주빌로 이와타
우승클럽 : 2002, 우승 : 주빌로 이와타, 준우승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승클럽 : 2003, 우승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준우승 : 주빌로 이와타
우승클럽 : 2004, 우승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준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클럽 : 2005, 우승 : 감바 오사카, 준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클럽 : 2006, 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준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우승클럽 : 2007,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클럽 : 2008,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우승클럽 : 2009,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우승클럽 : 2010, 우승 : 나고야 그램퍼스, 준우승 : 감바 오사카
우승클럽 : 2011, 우승 : 가시와 레이솔, 준우승 : 나고야 그램퍼스
우승클럽 : 2012, 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준우승 : 베갈타 센다이
우승클럽 : 2013, 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준우승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승클럽 : 2014, 우승 : 감바 오사카, 준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클럽 : 2015, 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준우승 : 감바 오사카
우승클럽 : 2016,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준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클럽 : 2017, 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준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우승클럽 : 2018, 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준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J2리그
우승 시즌 : 1993~1998 우승 : 출범 이전, 준우승 : 출범 이전
우승 시즌 : 1999, 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준우승 : FC 도쿄
우승 시즌 : 2000, 우승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준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 시즌 : 2001, 우승 : 교토 퍼플 상가, 준우승 : 베갈타 센다이
우승 시즌 : 2002, 우승 : 오이타 트리니타, 준우승 : 세레소 오사카
우승 시즌 : 2003, 우승 : 알비렉스 니가타, 준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우승 시즌 : 2004, 우승 : 가와사키 프론탈레, 준우승 : 오미야 아르디자
우승 시즌 : 2005, 우승 : 교토 퍼플 상가, 준우승 : 아비스파 후쿠오카
우승 시즌 : 2006, 우승 : 요코하마 FC, 준우승 : 가시와 레이솔
우승 시즌 : 2007, 우승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준우승 : 도쿄 베르디
우승 시즌 : 2008, 우승 : 산프레체 히로시마, 준우승 : 몬테디오 야마가타
우승 시즌 : 2009, 우승 : 베갈타 센다이, 준우승 : 세레소 오사카
우승 시즌 : 2010, 우승 : 가시와 레이솔, 준우승 : 방포레 고후
우승 시즌 : 2011, 우승 : FC 도쿄, 준우승 : 사간 도스
우승 시즌 : 2012, 우승 : 방포레 고후, 준우승 : 쇼난 벨마레
우승 시즌 : 2013, 우승 : 감바 오사카, 준우승 : 비셀 고베
우승 시즌 : 2014, 우승 : 쇼난 벨마레, 준우승 : 마쓰모토 야마가
우승 시즌 : 2015, 우승 : 오미야 아르디자, 준우승 : 주빌로 이와타
우승 시즌 : 2016, 우승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준우승 : 시미즈 에스펄스
우승 시즌 : 2017, 우승 : 쇼난 벨마레, 준우승 : V-파렌 나가사키
우승 시즌 : 2018, 우승 : 마쓰모토 야마가, 준우승 : 오이타 트리니타
J3리그
우승 시즌 : 1993~2013, 우승 : 출범 이전, 준우승 : 출범 이전
우승 시즌 : 2014, 우승 : 츠바이겐 가나자와, 준우승 :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우승 시즌 : 2015, 우승 : 레노파 야마구치, 준우승 : 마치다 젤비아
우승 시즌 : 2016, 우승 : 오이타 트리니타, 준우승 : 도치기 SC
우승 시즌 : 2017, 우승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준우승 : 도치기 SC
우승 시즌 : 2018, 우승 : FC 류큐, 준우승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 클럽별 우승 횟수
J1리그
축구클럽 : 가시마 앤틀러스, 우승 : 8, 준우승 : 2, 우승 시즌 : 1996, 1998, 2000, 2001, 2007, 2008, 2009, 2016, 준우승 시즌 : 1993, 1997
축구클럽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승 :3, 준우승 : 3, 우승 시즌 : 1995, 2003, 2004, 준우승 시즌 : 2000, 2002, 2013
축구클럽 : 주빌로 이와타, 우승 : 3, 준우승 : 3, 우승 시즌 : 1997, 1999, 2002, 준우승 시즌 : 1998, 2001, 2003
축구클럽 : 산프레체 히로시마, 우승 : 3,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2, 2013, 2015, 준우승 시즌 : 1994
축구클럽 : 감바 오사카, 우승 : 2, 준우승 : 2, 우승 시즌 : 2005, 2014, 준우승 시즌 : 2010, 2015
축구클럽 : 도쿄 베르디, 우승 : 2, 준우승 : 1, 우승 시즌 : 1993, 1994, 준우승 시즌 : 1995
축구클럽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우승 : 1, 준우승 : 5, 우승 시즌 : 2006, 준우승 시즌 : 2004, 2005, 2007, 2014, 2016
축구클럽 : 나고야 그램퍼스, 우승 : 1, 준우승 : 2, 우승 시즌 : 2010, 준우승 시즌 : 1996, 2011
축구클럽 : 가시와 레이솔,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11, 준우승 시즌 :
축구클럽 : 가와사키 프론탈레, 우승 : 2, 준우승 : 3, 우승 시즌 : 2017, 2018, 준우승 시즌 : 2006, 2008, 2009
축구클럽 : 시미즈 에스펄스,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1999
축구클럽 : 베갈타 센다이,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2
J2리그
우승 횟수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우승 : 3,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00, 2007, 2016, 준우승 시즌 :
우승 횟수 : 가와사키 프론탈레, 우승 : 2, 준우승 : 0, 우승 시즌 : 1999, 2004, 준우승 시즌 :
우승 횟수 : 교토 상가, 우승 : 2,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01, 2005, 준우승 시즌 :
우승 횟수 : 산프레체 히로시마,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08, 준우승 시즌 : 2003
우승 횟수 : 베갈타 센다이,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09, 준우승 시즌 : 2001
우승 횟수 : 가시와 레이솔,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0, 준우승 시즌 : 2006
우승 횟수 : FC 도쿄,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1, 준우승 시즌 : 1999
우승 횟수 : 방포레 고후,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2, 준우승 시즌 : 2010
우승 횟수 : 쇼난 벨마레, 우승 : 2,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4, 2017, 준우승 시즌 : 2012
우승 횟수 : 오미야 아르디자,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5, 준우승 시즌 : 2004
우승 횟수 : 오이타 트리니타,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02, 준우승 시즌 : 2018
우승 횟수 : 알비렉스 니가타,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03, 준우승 시즌 :
우승 횟수 : 요코하마 FC,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06, 준우승 시즌 :
우승 횟수 : 세레소 오사카, 우승 : 0, 준우승 : 2,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02, 2009
우승 횟수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00
우승 횟수 : 아비스파 후쿠오카,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05
우승 횟수 : 도쿄 베르디,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07
우승 횟수 : 몬테디오 야마가타,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08
우승 횟수 : 사간 도스,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1
우승 횟수 : 비셀 고베,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3
우승 횟수 : 마쓰모토 야마가, 우승 : 1, 준우승 : 1, 우승 시즌 : 2018, 준우승 시즌 : 2014
우승 횟수 : 주빌로 이와타,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4
우승 횟수 : 시미즈 에스펄스,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6
우승 횟수 : V-파렌 나가사키,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7
J3리그
축구클럽 : 츠바이겐 가나자와,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14, 준우승 시즌 :
축구클럽 : 레노파 야마구치,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15, 준우승 시즌 :
축구클럽 : 오이타 트리니타,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16, 준우승 시즌 :
축구클럽 :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4
축구클럽 : 마치다 젤비아,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5
축구클럽 : 도치기 SC, 우승 : 0, 준우승 : 2,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6, 2017
축구클럽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 우승 : 0, 준우승 : 1, 우승 시즌 : , 준우승 시즌 : 2018
축구클럽 : FC 류큐,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18, 준우승 시즌 :
축구클럽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우승 : 1, 준우승 : 0, 우승 시즌 : 2017, 준우승 시즌 :
스포츠토토 축구 J리그 기타 관련 대회
자국 축구 대회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1921–현재)
J리그 올스타전 (1993–현재)
슈퍼컵 (1994–현재)
J리그컵 (1992–현재, 1995 미개최)
J리그 승강결정전 (2004 2008, 2012–현재)
국제 대회
폐지된 축구 대회
A3 챔피언스컵 (2003-2007)
팬퍼시픽 챔피언십 (2008, 2009)